[유니티 내가 볼려고 정리]타일맵
스프라이트 설정
- 사용할 타일맵 이미지
- Texture Type
Sprite(2D and UI)
설정 - Sprite Mode
Multiple
설정 - Sprite Editor 실행
실행 안 될시: Asset Store - Package Manager - 2D Sprite 설치
Type Grid By Cell Size
변경하고 Pixel Size
를 X
,Y
모두 64로 변경
SpriteAtlas 만들기
노이즈 때문에 반짝거리는 현상을 막기 위함
- Edit -> Project Settings -> Editor 실행
- Sprite Packer의 Mode를
Enable for Builds
또는Always Enabled
로 변경- Enable for Builds: 빌드한 생성물에서 SpriteAtlas가 적용됩니다.
- Always Enabled: 빌드한 생성물뿐만 아니라 유니티 에디터에서의 실행에서도 SpriteAtlas가 적용됩니다.
- Project창에서 Create -> 2D -> Sprite Atlas 생성
- Filter Mode: Point
- Max Texture Size: 512
- Compression: None
- Pack Preview 눌러 확인
TilePalette 만들기
- Window -> 2D -> Tile Palette를 선택
- 실행 안 될시: Asset Store - Package Manager - 2D Tilemap Editor 설치
- 저장
- TileSheet를 Drog and Drop하여 저장
타일맵 게임 오브젝트 만들기
- 새로운 씬의 Hierarchy창에서 Create -> 2D Object -> Tilemap -> Rectangular 를 생성한다.
- Tile Palette 창에서 타일을 선택하여 Scene 뷰에 그린다. (
[
,]
키로 회전이 가능하다.)
- Tilemap 오브젝트에
Tilemap Collider 2D
와Composite Collider
2D 컴포지션을 추가한다.
- TileSheet.png를 선택해
Sprite Editor
창으로 들어가줍니다.
효율적으로 맵 만들기
Tile extras 를 활용하여 확장 브러쉬 사용하기
- Project창에서 Create -> Terrain Tile 생성
- 생성된 파일에 TileSheet.png의 TileSheet_0~14 설정하기
- 새로운 TilePalette 생성한 뒤 TerrianTile 파일 넣어주기
- 새로운 Tilemap 게임 오브젝트 생성한 후 Pallect로 그려주기